전주류씨항렬표
|
항렬(行列)은 같은 혈족 사이의 세계(世系)를 나타내기 위한 문중(門中)의 율법(律法)으로서 항렬자는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의 같은 세대(世代)를 나타내는 돌림자를 말하며, 선조들은 자손들의 항렬자와 배합법까지 미리 정하여 후손들이 이를 따르도록 관례(慣例)로 만들어 놓았다.
항렬은 가문(家門)과 각 분파(分派)마다 다르나 대표적인 것으로는 “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(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)”를 순서로 하는 십간법(十干法), “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(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)”를 순서로 하는 십이지법(十二支法) 및 “금수목화토(金水木火土)”의 변을 사용하는 오행상생법(五行相生法)이 있다. 1924년에 발간한 “전주류씨갑자보”에서는 오행상생법을 이용하여 우리 문중(門中)의 향렬자를 다음 표와 같이 정하였다.
그러나 인구가 많아 이 항렬자 1자(字)로는 동명이인(同名異人)이 많게 되므로 이 항렬자와 함께 "금수목화토(金水木火土)”의 변으로 항렬자를 더 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문중(門中)도 있다.
|
세(世) |
19世 |
20世 |
21世 |
22世 |
23世 |
24世 |
25世 |
26世 |
27世 |
28世 |
항렬자 行列字 |
○根 ○근 |
○珪 ○규 |
○秀 ○수 |
○熙 ○희 |
基○ 기○ |
○錫 ○석 |
漢○ 한○ |
○相 ○상 |
榮○ 영○ |
○載 ○재 |
세(世) |
29世 |
30世 |
31世 |
32世 |
33世 |
34世 |
35世 |
36世 |
37世 |
38世 |
항렬자 行列字 |
鐘○ 종○ |
○淳 ○순 |
秉○ 병○ |
○燮 ○섭 |
遠○ 원○ |
○鎔 ○용 |
海○ 해○ |
○柱 ○주 |
炯○ 형○ |
○培 ○배 |
세(世) |
39世 |
40世 |
41世 |
42世 |
43世 |
44世 |
45世 |
|
|
|
항렬자 行列字 |
鉉○ 현○ |
○澤 ○택 |
柄○ 병○ |
○燦 ○찬 |
○均 ○균 |
○鎭 ○진 |
泳○ 영○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