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터넷족보란?
가. 전자족보와 인터넷 족보
1) 전자족보
컴퓨터로 처리되는 족보로 여러 가지 검색 기능을 가지며 디지털 족보라고도 한다. CD-ROM 형태로 제작되어 보급되는 일명 CD족보와 종중 홈페이지에 연결되어 인터넷으로 서비스되는 인터넷족보로 분류된다.
2) 인터넷 족보
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족보 관련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전자족보이다. CD형 전자족보는 책자족보와 마찬가지로 일정 주기로 제작될 수 밖에 없지만 비하여 인터넷 족보는 일년 또는 몇 개월 단위로 족보를 갱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.
나. CD족보와 인터넷족보의 차이점
항목 |
CD 족보 |
인터넷 족보 |
데이터 저장 |
개인에 직접 배포 |
웹 서비스 업체의 서버 |
보안 시스템 |
제작업체 제공(배포당시) |
웹 서비스 업체 제공 (항시 최신 버전 제공) |
해킹 용이성 |
쉬움(위조 가능성 있음) |
비교적 어려움 |
해킹 발견 |
해킹 당한 사실 모름 |
해킹 사실 신속히 발견 |
다. 책자족보와 인터넷족보의 차이점
항목 |
책자족보 |
인터넷족보 |
1 |
자료수집 및수단비용 접수에 어려움이 많다. |
접수자가 직접 등록 가능하여 접수방법이 용이하다. |
2 |
족보 제작 주기가 너무 길다(20-30년). |
족보 제작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. |
3 |
세대별 과다한 금액이 일시에 부과되어 경제적 부담이 크다. |
기존 자료를 활용하고 신규 등록자나 기존 자료의 갱신 시 실비부담으로 해결되므로 경제적 부담이 적다. |
4 |
등재내용이 단조롭다. |
등재 내용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다. |
5 |
미래 세대에게 책자족보는 어렵게 보인다. |
인터넷에 익숙한 미래세대에게 인터넷족보는 친숙하다. |
6 |
쉽게 분실되거나 훼손된다. |
분실, 훼손 없이 영구보존이 가능하다. |
7 |
정단 및 조판작업 때문에 족보발간에 오랜시일이 소요된다. |
정단 및 조판작업이 필요 없어 언제든지 신속하게 발간할 수 있다. |
라. 인터넷족보의 주요 기능
1) 본인 이름만 입력하면 즉시 직계 존비속과 가계家系) 등 자신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. 또한 일가간의 촌수도 쉽게 계산할 수 있다.
2) 관심을 가진 선조님 또는 종인의 이름을 입력하면 기록사항과 가계를 찾을 수 있다.
3) 족보에 있는 자신의 이름을 클릭하면 본인 사진, 가족 사진, 훈장, 표창장 등 자신과 관련된 자료를 함께 볼 수 있다.
4) 족보에 있는 선조의 휘자를 클릭하면 선조와 관련된 사진보기 이력 보기, 한글 및 번역 보기 등의 자료를 볼 수 있다.
5) 한자 옆에 한글 음이 있어 누구나 쉽게 족보를 읽을 수 있다.
6) 인터넷족보의 페이지 형태는 책자족보와 동일한 형태로 화면에 나타난다.
7) 책자족보로 보존이 필요한 경우 주기적으로 족보 페이지를 출력하여 족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..
8) 후손의 족보 등재 및 기존 등재 내용의 오류 수정이 용이하다.